계발자 블로그
[네트워크] OSI 7계층 본문
OSI 7계층이란?
두 시스템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한 기능을 7계층으로 나누어 서비스 하는 것을 말합니다.
7계층으로 나누는 이유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알기 쉽고 7계층 중 특정 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계층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기계적, 전기적,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해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 하는 절차입니다.
리피터, 케이블, 허브 등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오류 제어 기능과 전송 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하는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합니다.
3계층 - 네트워크 계층(Netwokr Layer)
송신 측에서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경로로 전송될 수 있도록 경로를 배정하고 혼잡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장비인 라우터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 측에 전달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를 탐색합니다.
4계층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TCP, UDP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을 활성화 합니다. 포트를 열어 두고 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해줍니다.
이를 통해 양 끝 단의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TCP : 신뢰성, 연결 지향적
UDP : 비신뢰성, 비연결성, 실시간
5계층 - 세션 계층(Session Layer)
송수신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 대화 제어와 동기화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대화 제어 기능은 데이터를 송수신 할 때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기능으로 대화 제어 협상을 통해 결정합니다.
6계층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의 구문과 의미에 관련된 기능으로 변환, 암호화, 압축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면, EBCDIC로 인코딩된 문서 파일을 ASCII로 인코딩된 파일로 바꿔 주는 것,
해당 데이터가 TEXT인지, 그림인지, GIF인지 JPG인지의 구분 등이 표현 계층의 몫입니다.
7계층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SMTP, PTP, HTTP등이 있습니다.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쿠키와 세션 (0) | 2022.09.27 |
---|---|
[네트워크] HTTP와 HTTPS (0) | 2022.09.25 |
[네트워크] 3-way handshake, 4-way handshake (0) | 2022.09.22 |
[네트워크] TCP, UDP (0) | 2022.09.22 |